Cisco Nexus 9000 시리즈 실습 Part 5
기본 설정
설정하기에 앞서 포트들이 Topology와 동일하게 설정이 되었는지 show cdp neighbors 명령을 사용하여 확인 해준다.
*스위치 2, 3, 4 도 Topology에 맞는지 확인
OSPF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라우터용 포트를 사용해야하기에 no switchport 명령을 사용하여 router port로 변경해주고
no shutdown을 사용하여 포트를 활성화 시켜준다. 또한 IP Setting도 진행한다.
*스위치 2, 3, 4 에도 Topology에 맞게 설정을 해준다.
show interface brief 명령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포트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스위치 2, 3, 4 도 확인
OSPF 구성
1. OSFP feature를 활성화 , process id 할당, Router ID 구성
2. interface 별로 OSPF 활성화
3. OSPF 구성확인
4. Win10-1, 2 Vlan 설정 및 ping Test
1. OSFP feature를 활성화 , process id 할당, Router ID 구성
스위치 1에서 OSPF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설정 진행
*스위치 2, 3, 4 에도 Topology에 맞게 설정을 해준다.
2. interface 별로 OSPF 활성화
Single Area로 구성 (Area 번호는 0 – 백본 Area)
DR/BDR 선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Network type를 point to point로 변경해준다.
*스위치 2, 3, 4 에도 Topology에 맞게 설정을 해준다.
3. OSPF 구성확인
스위치 1번과 연결되어있는 3번 4번이 neighbor 관계를 맺은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스위치 마다 연결된 스위치가 neighbor 관계를 맺었는지 확인한다.
이전에 설정한 IP와 Network type을 확인한다.(Network type이 다르면 서로 네이버 관계를 맺지 못한다.)
show ip route 명령을 통해 연결된 최종 route를 확인할 수 있다.(각 스위치에 가는 길이 없을 경우 설정이 잘못된 것이다.)
4. Win10-1, 2 Vlan 설정 및 ping Test
vlan 110, 120을 생성해준다.
스위치 3번과 4번의 Win10과 연결된 e1/5포트에 vlan 110과 120을 access 해준다.
gateway 역할을 하도록 feature interface-vlan을 활성화 시키고
스위치 3번의 e1/5 포트가 gateway 역할을 하도록 IP를 setting 해준다.
show ip int brief 명령을 사용하여 vlan 110이 정상적으로 적용되었는지 확인한다.
*스위치 4번에는 vlan 120으로 적용해준다(Topology 참고)
스위치1의 라우팅 테이블이다. 만약 각각의 스위치끼리나 Win10에 ping이 가지않는다면 라우팅테이블을 확인하여 가고자하는 방향이 등록되어있는지 확인가능하다.
Win10 Setting
Ping test
Win10-1에서 Win10-2 로 ping이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Win10-2에서 Win10-1 로 ping이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