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우분투 리눅스 네임서버, DHCP서버구성 및 도메인이름 설정
    고병재 2021. 9. 23. 17:33

    IP 셋팅 

    192.168.150.2

     

     

    네임서버

    네임서버 설치

    apt -y install bind9 bind9utils 명령을 사용하여 네임서버에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한다. 

     

    named.conf.options 설정 파일 수정

    설치를 완료한 후 네임서버 설정파일을 수정해준다.

    /etc/bind/named.conf.options 를 vi나 nano를 이용하여 편집기를 실행시킨다. 

     

    dnssec-vaildation auto; → dnssec-vaildation no;

    recursion yes;

    allow-query { any };

     

    Vmware가 사용하는 가상머신의 네트워크 주소에 있는 모든 컴퓨터가 네임 서버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

     

    네임서버 활성화 확인

    systemctl restart named : 네임서버를 재시작

    systemctl enable named : 네임서버를 활성화 

    systemctl stauts named : 현재 네임서버의 상태 확인

     

    위 명령을 통하여 네임서버가 활성화 되었는지 확인한다. ( active (running) 확인 )

     

     

    dig 명령

    dig 명령을 통하여 네임서버가 nate의 주소를 잘 가져오는지 확인한다.

     

     

    nslookup 명령

    mslookup 명령을 통하여 네임서버가 nate의 주소를 잘 가져오는지 확인한다.

     

    네임서버 설정 shell script

    한번의 실행으로 네임서버가 구성될 수 있도록 작성한 shell script 이다. (개인적으로 작성한 부분으로 작성하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

     

    sed -i 's/auto/no' /etc/bind/named.conf.options

    → /etc/bind/named.conf.options 파일의 'auto'를 찾아서 'no' 변경

    sed -i ' ' -r -e "/dnssec-validation no;/a\     recurstion yes; " /etc/bind/named.conf.options

    → named.conf.options 파일의 dnssec-validation no; 를 찾아서 그 줄 아래에 recurstion yes; 를 입력

    sed -i ' ' -r -e "/recurstion yes;/a\     allow-query { any; }; " /etc/bind/named.conf.options

    → named.conf.options 파일의 recurstion yes; 를 찾아서 그 줄 아래에 allow-query { any; }; 를 입력

     

    DHCP 서버

    DHCP서버 설치

    apt -y install isc-dhcp-server 명령을 사용하여 DHCP 서버를 구성하기 위한 패키지를 설치 한다.

     

     

    dhcp.conf 파일 편집

    설치를 완료한 후 DHCP 설정파일을 수정해준다.

    /etc/dhcp/dhcpd.conf 를 vi나 nano를 이용하여 편집기를 실행시킨다. 

    위 사진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대역의 ip 정보를 추가한다

     

    subnet 네트워크주소  netmask 넷마스크값 {

    option routers 게이트웨이 주소 

    option subnet-mask 넷마스크정보

    range dynamic-bootp 시작 IP 끝 IP

    option domain-name-servers 네임서버 주소

    default-lease-time 임대시간(초)

    max-lease-time 최대임대시간(초)

    }

     

     

    DHCP 서버 서비스 시작 확인

    systemctl restart isc-dhcp-server

    systemctl status isc-dhcp-server

    명령을 사용하여 DHCP 서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Window

    Window client에서 DHCP서버를 통해 DHCP IP 를 받아온 모습 (100~150번 사이의 IP를 받아온 모습을 볼수있다.)

    Ubuntu

    Ubuntu client에서 DHCP서버를 통해 DHCP IP 를 받아온 모습 (100~150번 사이의 IP를 받아온 모습을 볼수있다.)

     

     

    IP 대여 내용

    cat /var/lib/dhcp/dhcpd.leases 명령을 통해서 DHCP서버가 IP를 대여해준 내역을 보여준다.

     

     

    DHCP서버 설정 shell script

    한번의 실행으로 DHCP서버가 구성될 수 있도록 작성한 shell script 이다. (개인적으로 작성한 부분으로 작성하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앞서 수작업으로 진행한 부분에서 /etc/dhcp/dhcpd.conf 파일에 사용자가 설정한 IP 대역과 게이트웨이 주소 대여IP 범위 등 을 추가하는 작업이 있었는데 이 부분을 

    echo "subnet 192.168.150.0  netmask 255.255.255.0 { " >> /etc/dhcp/dhcpd.conf

    → echo 명령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을 >>(리다이렉션) 기호를 사용하여 /etc/dhcp/dhcpd.conf 파일에 가장 마지막 부분에 추가하도록 설정하였음. 

     

    리다이렉션 기호  방향 의미
    > 표준 출력 명령 > 파일 : 명령의 결과를 파일로 저장
    >> 표준 출력(추가) 명령 >> 파일 : 명령의 결과를 기존 파일 데이터 마지막에 추가
    < 표준 입력 명령 < 파일 : 파일의 데이터를 명령에 입력


    도메인 설정

     

    도메인 설정

    nano나 vi 를 사용하여 /etc/bind/named.conf 파일을 열어서 마지막에 사용자가 원하는 도메인 이름을 등록한다. 

     

    문법검사

    입력한 내용의 문법검사를 진행한다. 

     

    db파일 생성 확인

    touch cloud-test2.com.db 명령을 사용하여 빈 파일을 생성 후 제대로 생성이 되었는지 확인

     

     

    db 파일 수정

     

    생성한 db파일에 설정 내용을 추가한다. (아직 web과 ftp는 설정하지 않았지만 다음 글 작성때 web과 ftp서버를 추가할 예정 이기에 미리 등록)

     

    192.168.150.2 → 네임서버 역할

    192.168.150.4 → web서버 역할

    192.168.150.3 → ftp서버 역할

     

    ※ 위 사진과 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서버를 입력해주고 저장한다 (글자가 틀리지않았는지 주의하자)

     

     

    문법 검사

    작성한 내용의 문법검사 진행 OK 표시가 뜨면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서비스 활성화 확인

    서비스를 재시작 후 활성화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도메인 설정 shell script

    한번의 실행으로 도메인이 구성될 수 있도록 작성한 shell script 이다. (개인적으로 작성한 부분으로 작성하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고병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D 레벨  (0) 2021.09.24
    우분투 리눅스 Web서버, FTP 서버  (0) 2021.09.23
    Vmware Workstation에 우분투 리눅스 설치  (0) 2021.09.22
    EVE-NG 설치  (0) 2021.09.16
    NFS  (0) 2021.09.16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