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A(High Availability) 기본 설정고병재 2021. 11. 25. 17:17
vSphere HA (High Availability)
→ 가상 시스템 및 해당 가상 시스템의 호스트를 클러스터로 풀링하여 가상 시스템에 대한 고가용성을 제공합니다. 클러스터의 호스트가 모니터링되고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가 발생한 호스트의 가상 시스템이 대체 호스트에서 다시 시작되는 기능이다.
Cluster 설정 HA는 기본적으로 같은 클러스트 안에서 작동한다.
esxi01과 esxi02를 같은 클러스터 안에 넣어주고 Win10 3개는 esxi01번에 추가해놓는다.
HA 기본설정(esxi01) HA 기본설정(esxi01) HA는 기본적으로 vMotion과 공유스토리지가 설정되어있어야한다.
VMkernel 어댑터 vMotion과 ISCSI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있는 모습이다.
vMotion 설정 변경 HA를 사용하기 위해서 vMotion의 설정을 (vMotion, 관리) 두개를 선택하여 변경해준다.
HA 설정 HA,DRS_Cluster를 선택하고 구성 → 우측에 편집을 눌러준다.
HA 설정 상단의 vSphere HA를 선택해주고 확인을 눌러준다.
HA 구성 자동으로 vCenter에서 HA를 구성 해준다 기다리면 구성이 완료된다.
esxi01 esxi01번은 구성에 들어가면 (기본)으로 설정된 모습을 볼 수 있다.
esxi02 esxi02번은 구성에 들어가면 (보조)으로 설정된 모습을 볼 수 있다.
Cluster 확인 위에서 확인했듯이 Cluster의 마스터호스트는 esxi01번으로 되어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esxi01 VM확인 esxi01번에 HA에 사용할 VM들이 들어가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HA를 구성하는 설정은 완료되었고 간단한 실습이기에 esxi01번 호스트를 재부팅 시킬 시 esxi01에 있는 VM들이 esxi02번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확인하면 된다.
esxi01 재부팅 재부팅을 시켜준다.
HOST 응답없음 확인 재부팅이 정상적으로 진행하여 응답없음으로 표시되는걸 볼 수 있다.
esxi02번 VM확인 HA를 설정하지 않고 재부팅을 시키면 VM들이 모두 종료가 되어야하지만 HA설정으로 인해 esxi02번으로 VM들이 모두 마이그레이션된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전원 또한 켜져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HOST확인 마스터 호스트가 esxi01 → esxi02 로 변경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벤트 확인 esxi02번에서 VM들이 이동되어 다시 시작한다는 문구를 확인하여 정상적으로 HA가 작동한 모습을 볼 수 있다.
HA대해서 간단하게 실습을 진행하였음.
'고병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RS(Distributed Resource Scheduler) 기본 설정 (0) 2021.11.26 Vyos를 이용한 NAT 설정 (0) 2021.11.18 Ovios를 이용한 ISCSI설정 (0) 2021.11.16 vMotion(Live Migration) part 2 (0) 2021.10.14 vMotion(Live Migration) part 1 (0) 2021.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