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네트워크 구성 실습 Part3
    고병재 2021. 10. 3. 12:55

    전체 Network  구성

     

    Part3

     

     

    설정 순서

    1. 수작업으로 Vlan 생성 및 Vlan 할당

    2. Trunk 설정

    3. Vlan Ping Test (같은 Vlan ,다른 Vlan)

    4. L3 스위치를 이용하여 SVI를 이용한 vlan간의 통신

    5. Eigrp 설정

     

    1. 수작업으로 Vlan 생성

     

    MS

     

    Switch(config)#vlan 10

    Switch(config-vlan)#name A

    Switch(config)#vlan 20

    Switch(config-vlan)#name B

     

    Switch(config)#int e0/0

    Switch(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Switch(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10

     

    Switch(config)#int e0/1

    Switch(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Switch(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20

     

    show vlan 명령

     

    S9

     

    Switch(config)#vlan 10

    Switch(config-vlan)#name A

    Switch(config)#vlan 20

    Switch(config-vlan)#name B

     

    Switch(config)#int e0/0

    Switch(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Switch(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10

     

    Switch(config)#int e0/1

    Switch(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Switch(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20

     

    show vlan 명령

     

    S10

     

    Switch(config)#vlan 10

    Switch(config-vlan)#name A

    Switch(config)#vlan 20

    Switch(config-vlan)#name B

     

    Switch(config)#int e0/0

    Switch(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Switch(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10

     

    Switch(config)#int e0/1

    Switch(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Switch(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20

     

     

    show vlan 명령

     

    Part2에서는 VTP를 이용하여 Vlan을 생성했지만 Part3에서는 수작업으로 진행

     

     

    2. Trunk 설정

     

    MS

     

    Switch(config)#int e0/2

    Switch(config-if)#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Switch(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Switch(config)#int e0/3

    Switch(config-if)#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Switch(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S9

     

    Switch(config)#int e0/2

    Switch(config-if)#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Switch(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Switch(config)#int e0/3

    Switch(config-if)#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Switch(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S10

     

    Switch(config)#int e0/2

    Switch(config-if)#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Switch(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Switch(config)#int e0/3

    Switch(config-if)#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Switch(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3. Vlan Ping Test (같은 Vlan ,다른 Vlan)

     

    #Trunk 설정이 완료되었으니 같은 Vlan 끼리 Ping이 정상적으로 동작해야한다.

     

    Ping Test

    Vlan 10 - Vlan 10 간에는 정상적으로 작동

    Vlan 10 - Vlan 20 은 Ping Test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4. L3 스위치를 이용하여 SVI를 이용한 Vlan간의 라우팅

     

    # L3 스위치는 layer 3계층에 속하는, 즉 Router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스위치

    # Vlan에 IP 주소를 넣기위해 Interface Vlan을 생성해야한다. 
    # SVI(Switch Virtual Interface)라는 논리적인 인터페이스가 생성되어 IP 주소를 넣고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MS

     

    Switch(config)#int vlan 10

    Switch(config-vlan)# ip address 192.168.1.158 255.255.255.224

     

    Switch(config)#int vlan 20

    Switch(config-vlan)# ip address 192.168.1.190 255.255.255.224

     

    L3는 스위치 + 라우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이다. 

    Part2에서 서브인터페이스를 설정하여 각 Vlan의 Default Gateway 주소를 넣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Ping Test

     

    SVI를 이용하여 Vlan들의 Default Gateway를 등록하여 Vlan10 - Vlan10 , Vlan10 - Vlan20 간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Eigrp 설정

     

    R3

    Router(config)#router eigrp 100

    Router(config-router)#network 192.168.1.0 0.0.0.255

     

     

    MS

     

    #L3(MS)는 라우터 + 스위치의 기능을 가진 장비라고 설명했었다. 이 장비를 라우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설정이 필요하다.

     


    Switch(config)#int e1/0

    # e1/0 포트를 스위치 포트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명령을 추가해준다.

    # 이 명령을 사용하면 Router 기능을 하는 포트로 사용할 수 있다.
    Switch(config-if)#no switchport  

    Switch(config-if)#exit

    Switch(config)#router eigrp 100

    Switch(config-router)#network 192.168.1.0 0.0.0.255

     

     

    #Eigrp를 설정완료 후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면

     

    show ip route

    (D = eigrp) 로 얻어온 경로가 보여진다. 

     

    Ping Test

    하지만, Eigrp로 설정한 라우터까지는 Ping Test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지만 OSPF 구간을 넘어가는 순간 통신이 안되는 것을 볼 수 있다. OSPF의 라우팅구간을 EIGRP가 모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결과이다. (반대로, OSPF → Eigrp 구간 또한 같은 이유로 통신이 안된다.)

     


    앞서 Part1에서 설정한 재분배를 이용하여 OSPF구간 라우팅 정보를  Eigrp구간에 넘겨주고 Eigrp구간의 라우팅 정보를 OSPF에 넘겨주면 통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OSPF와 EIGRP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는 R3라우터에서 설정을 진행한다. 

     

    R3

     

    Router(config)#router ospf 100
    Router(config-router)# redistribute eigrp 100 subnets

     

    Router(config)#router eigrp 100
    Router(config-router)# redistribute ospf 100 metric 1544 10 255 1 1500

     

     

    Ping Test

    Eigrp 구간에서 OSPF구간으로 정상적으로 넘어가는 걸 볼 수 있다. 

     

    Ping Test

    OSPF 라우터에서 Eigrp 라우터로 정상적으로 통신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모든 구간의 설정이 완료 되었고 Part1, Part2, Part3의 VPC끼리  통신이 되는지 확인

     

     

    Part1설정 구간에서 Part3(Vlan10, 20) 구간 테스트

     

    Part1설정 구간에서 Part2(vlan10,20,30) 구간 테스트

     

     

    '고병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 가상화 Part 1  (0) 2021.10.04
    vSphere 용어  (0) 2021.10.03
    네트워크 구성 실습 Part2  (0) 2021.10.02
    네트워크 구성 실습 Part1  (0) 2021.10.02
    iSCSI와 vCenter연결  (0) 2021.10.02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