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isco Nexus 9000 시리즈 실습 Part 4고병재 2021. 10. 8. 18:44
실습 Topology 기본설정
Vlan 설정 스위치 1번과 2번에 기본설정으로 Vlan 11,12번 생성하고 E1/1-3번까지 vlan 11과 12에 할당해준다. 상단 Topology에는 E1/5-6 번이 있지만 사용하지 않는다.
실습 순서
① feature vpc , lcap 활성화② vpc domain 10 생성
③ int e1/3-4 channel-group 12 생성
④ channel-group 12 Trunk 모드 설정
⑤ vpc peer-link
⑥ vpc peerkeepalive
⑦ 하단부 vpc 구성
⑧ 하단 port channel-group
① feature vpc , lcap 활성화
② vpc domain 10 생성
vpc iacp 활성화 feature 명령을 사용하여 vpc 와 lacp를 활성화 시켜준다.
vpc domain [숫자] 명령을 사용하여 vpc domain 생성해준다.
*스위치 2번 또한 같은 방식으로 생성해준다.
③ int e1/3-4 channel-group 12 생성
④ channel-group 12 Trunk 모드 설정
⑤ vpc peer-link
vpc 설정 스위치 2번과 연결된 포트를 채널 그룹으로 묶어주고 Trunk 모드로 설정해준다.
switchport trunk allowd vlan 11-12 명령을 사용하여 vlan 11,12의 trunk 모드를 허용해준다.
vpc peer-link 명령을 통해 같은 도메인 10번과 peer를 맺을 링크를 설정해준다.
*스위치 2번 또한 같은 방식으로 생성해준다.
⑥ vpc peer-keepalive 설정
peer-keepalive설정 peer-keepalive는 L3로 연결된 것을 말하는데 각 스위치끼리 연결이 되어있고 핑 또한 되어야한다.
vpc domain 10에 들어가 peer-keepalive destination [연결할 IP] vrf management 명령을 사용하여 상대방 장비 IP를 입력하여 peer-keepalive를 맺는다.
*스위치 2번 또한 같은 방식으로 생성해준다.
peer-keepalive 상태확인 show vpc peer-keepalive 명령을 사용하여 정상적으로 스위치 1,2번의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
위에 과정 까지 완료하면 vpc설정 확인이 필요하다.
설정 확인 show vpc brief 명령을 사용하여 앞서 만든 peer-link, peer-keepalive가 정상적으로 활성화 되었는지 확인하고 하단쪽에 사용자가 설정한 port 12 번의 상태가 up인것을 확인, 설정해놓은 Active vlans(사용자 지정) 이 맞게 들어가있는지 확인한다.
⑦ 하단부 vpc 구성
vpc 설정 하단 부분에 연결한 vpc생성으로 연결할 때에는 반드시 channel-group를 사용해야하며 vpc번호는 연결할 양쪽 모두 동일한 번호를 사용해야한다.
*스위치 1번 또한 같은 방식으로 생성해준다.
⑧ 하단 port channel-group
Switch1의 e1/1 Switch2의 e1/2를 port-channel 2를 묶어준다.
상태확인 다시 vpc의 상태를 확인하면 맨 하단에 vPC 100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병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sco Nexus 9000 시리즈 실습 Part 6 (0) 2021.10.13 Cisco Nexus 9000 시리즈 실습 Part 5 (0) 2021.10.08 Cisco Nexus 9000 시리즈 실습 Part 3 (0) 2021.10.06 Cisco Nexus 9000 시리즈 실습 Part 2 (0) 2021.10.06 Cisco Nexus 9000 시리즈 실습 Part 1 (0) 2021.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