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재
-
VSAN 설정고병재 2021. 10. 13. 19:32
*사전준비 Esxi-04 : 192.20.10.54 Esxi-05 : 192.20.10.55 Esxi-06 : 192.20.10.56 #Esxi호스트 4, ,5, 6를 생성해주고 호스트안에 Win-2016 VM을 하나씩 만들어 놓는다. Esxi-04에서 가상 스위치 → 네트워킹 추가를 클릭한다. 새 표준 스위치를 선택한 후 다음을 눌러준다. vmnic3를 선택하고 확인을 눌러준다(다른 번호의 물리적 어댑터를 선택하여도 상관없지만 Esxi-04 ~ 06 까지 동일한 어댑터를 사용하여야 한다. ) 적당한 네트워크 레이블(이름)을 설정하고 아래의 vSAN을 체크한 후 다음을 눌러준다. VMKernel로 사용할 IP주소를 입력해 준다. (겹치는 번호는 X) 게이트웨이와 DNS 서버가 주소가 제대로 되어있는지 확..
-
vCenter ← NFS 연결고병재 2021. 10. 13. 18:52
AD-Master 서버에서 설정한 NFS 서버를 vCenter로 연결하는 실습 * NFS : RPC를 이용하여 리모트 호스트 사용자가 원격지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마치 로컬 파일에 접근 하듯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이언트/서버형 파일 시스템 공유 프로토콜 실습 순서 ① AD-Master 서버 NFS 구성 ② vCenter의 데이터스토어 연결 ① AD-Master 서버 NFS 구성 NFS로 사용할 HDD 100GB를 추가한다. 서버관리자 → 파일 및 저장소 서비스 → 볼륨 → 디스크 NFS용 HDD 100GB가 추가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지만, 오프라인 상태이기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온라인 상태로 변경 해준다. 온라인 상태로 변경된 상태를 확인하고 다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새 볼륨을 눌러준다...
-
Cisco Nexus 9000 시리즈 실습 Part 6고병재 2021. 10. 13. 17:33
실습 순서 1. 스위치 3번 vrf 설정, eigrp설정 2. 스위치 4번 vrf 설정, eigrp설정 3. 스위치 1번 vrf 멤버등록, eigrp 설정 4. 스위치 2번 vrf 멤버등록, eigrp 설정 5. Ping Test 1. 스위치 3번 vrf 설정, eigrp설정 * 이전에 feature 명령을 통해 사용 할 기능들을 활성화 시켜놓는다. * nx - os 는 ISO와 다르게 라우팅프로토콜을 network 명령을 사용하지 않고 interface안에서 설정한다. 주의 * vrf context A #vrf A 생성 router eigrp A # eigrp A 생성 (config-router)# vrf A #eigrp에 vrf A 할당 autonomous-system 10 #AS넘버를 할당해준다. ..
-
Cisco Nexus 9000 시리즈 실습 Part 5고병재 2021. 10. 8. 19:19
기본 설정 설정하기에 앞서 포트들이 Topology와 동일하게 설정이 되었는지 show cdp neighbors 명령을 사용하여 확인 해준다. *스위치 2, 3, 4 도 Topology에 맞는지 확인 OSPF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라우터용 포트를 사용해야하기에 no switchport 명령을 사용하여 router port로 변경해주고 no shutdown을 사용하여 포트를 활성화 시켜준다. 또한 IP Setting도 진행한다. *스위치 2, 3, 4 에도 Topology에 맞게 설정을 해준다. show interface brief 명령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포트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스위치 2, 3, 4 도 확인 OSPF 구성 1. OSFP feature를 활성화 , process id ..
-
Cisco Nexus 9000 시리즈 실습 Part 4고병재 2021. 10. 8. 18:44
기본설정 스위치 1번과 2번에 기본설정으로 Vlan 11,12번 생성하고 E1/1-3번까지 vlan 11과 12에 할당해준다. 상단 Topology에는 E1/5-6 번이 있지만 사용하지 않는다. 실습 순서 ① feature vpc , lcap 활성화 ② vpc domain 10 생성 ③ int e1/3-4 channel-group 12 생성 ④ channel-group 12 Trunk 모드 설정 ⑤ vpc peer-link ⑥ vpc peerkeepalive ⑦ 하단부 vpc 구성 ⑧ 하단 port channel-group ① feature vpc , lcap 활성화 ② vpc domain 10 생성 feature 명령을 사용하여 vpc 와 lacp를 활성화 시켜준다. vpc domain [숫자] 명령을..
-
Cisco Nexus 9000 시리즈 실습 Part 3고병재 2021. 10. 6. 19:25
Show interface status 명령을 사용하여 L2로 사용되는 상태를 알 수 있다. Show interface brief 명령을 사용하여 현재 포트의 상태(L3)를 알 수 있다. vrf 설정 vrf이론 ~~~~~~~ show vrf 명령을 사용하여 현재 vrf 종류 및 상태를 알 수 있다. e1/11~15번 포트를 라우터포트로 사용하여 vrf를 할당 (config)#int e1/11-15 (config-if)#no switchport e1/11~e1/15번의 포트를 스위치 포트 → 라우터 포트로 변경 (config)# vrf context A 명령을 사용하여 vrf A생성 , 생성된 vrf A확인 int e1/11-12로 포트를 지정해주고 vrf member A 명령을 통해 11번과 12번을 v..
-
Cisco Nexus 9000 시리즈 실습 Part 2고병재 2021. 10. 6. 15:05
Part1은 console을 이용한 직접연결을 실습하였고 Part 2 는 IP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SSH 접속 실습 (NAT-Server에서 Putty 실행) console연결(직접연결)은 하단의 Win10-1 가상머신을 이용하여 접속하여 COM포트를 연결하였다. management 연결(SSH, HTTP)은 IP를 설정하고 설정한 IP를 통해 접속하는 방식이다. 맨 상단의 Topology 스위치에 적혀있는 IP를 설정해준다. 192.20.10.11 = N9K-1 192.20.10.12 = N9K-2 192.20.10.13 = N9K-3 192.20.10.14 = N9K-4 각각 IP를 HostName(IP address)에 적어주고 Saved Sessions에 각 스위치 이름을 적어준 뒤 Save를 눌..
-
Cisco Nexus 9000 시리즈 실습 Part 1고병재 2021. 10. 5. 22:56
*N9K-1, N9K-2는 Nexus 9500 스위치 사용 *N9K-3, N9K-4는 Nexus 9300 스위치 사용 *사전 준비 : Nexus 9300 ova 파일, Nexus 9500 ova 파일 1. 가상 스위치 및 포트 그룹 설정 Topology를 보면 4개의 Nexus 스위치가 있다. 각각의 스위치를 연결하는 가상 스위치를 추가한다. pa-b-c-d →P1-1-2-1 P1는 조를 구분하는 번호이고 그다음 1은 각 스위치가 연결될 때 연결을 시작하는 첫번 째 스위치 번호이고 2는 연결되는 스위치의 번호, 마지막 1은 포트의 총 개수 중 첫번째를 의미한다. 즉, P1-1-2-1는 1조의 1번 스위치에서 2번스위치를 연결하는 포트중 첫번째 포트를 말하는 것이다. 또한, 스위치를 설정할 때 보안 부분의..